항공안전세미나
개요
- 항공안전제고를 위한 "운항 ∙ 관제 업무개선"의 주제로 매년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한국항공협회, 한국공항공사, 인천국제공항공사가 공동주최
- 세미나는 정부, 군, 학계, 업계의 운항, 관제 및 안전 실무 종사자들이 참석하고 있으며 2019년까지 21회 개최
목적
- 항공안전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고, 특히 운항과 관제분야 전문가들이 연구한 논문과 문제점 등을 발표, 토론하고 이에 대한 개선점을
모색함으로써 항공사고를 예방하고자함
추진실적
세미나 | 개최일자 | 개최장소 |
---|---|---|
제21회 | 2019.11.29.금 | 메이필드호텔 볼룸 |
제20회 | 2018.11.30.금 | 메이필드호텔 볼룸 |
제19회 | 2017.9.8.금 | 메이필드호텔 볼룸 |
제18회 | 2016.12.7.수 | 메이필드호텔 볼룸 |
제17회 | 2015.10.30.금 | 메이필드호텔 아이리스홀 |
제16회 | 2014.11.05.수 | 그랜드하얏트 호텔(인천) |
제15회 | 2013.10.08.화 | 김포국제공항 스카이시티 컨벤션센터 |
제14회 | 2012.10.26.금 | 서울공항 세미나룸 |
제13회 | 2011.10.20.목 | 김포공항 스카이시티 컨벤션센터 |
제12회 | 2010.10.26.화 | 김포공항 스카이시티 컨벤션센터 |
제11회 | 2009.09.04.금 | 김포공항 스카이시티 컨벤션센터 |
제10회 | 2008.12.12.금 | 김포공항 스카이시티 컨벤션센터 |
제09회 | 2007.07.06.금 | 김포공항 스카이시티 컨벤션센터 |
제08회 | 2005.06.30.목 | 김포공항 스카이시티 컨벤션센터 |
제07회 | 2004.07.08.목 | 김포공항 스카이시티 그랜드볼룸 |
제06회 | 2003.07.03.목 | 한국항공대학교 중소벤쳐육성지원센터 강당 |
제05회 | 2002.07.10.수 | 한국항공대학교 중소벤쳐육성지원센터 강당 |
제04회 | 2001.07.13.금 | 한국공항공단 대강당 |
제03회 | 2000.07.14.금 | 한국공항공단 청원경찰대 강당 |
제02회 | 1999.07.22.목 | 한국공항공단 항공기술훈련원(청주) |
제01회 | 1998.10.29.목 | 한국공항공단 강당 |
- 2019
- 2018
- 2017
- 2016
- 2015
- 2014
- 2013
- 2012
- 2011
- 2010
- 2009
- 2008
- 2007
- 2005
- 2004
- 2003
- 2002
- 2001
- 2000
- 1999
- 1998
- 1996
-
제 21회
2019.11
인공지능시대의 항공교통체계 혁신방향 / 이금진
공항지역 생태환경 통제방안 / 허강
2019년 항행안전감독 성과와 안전동향 / 권혁진
낙뢰 시 공항 운영 및 안전관리 활동 / 이규복
AFTM, 성과와 도전 그리고 비전 / 정혜인
공항 주변 장애물 관리 정책변화 동향 / 김준혁
항공교통관제사 피로관리시스템의 국내적용 / 정은경
낙뢰 예측 및 항공사 대응절차 / 강민철
공항 항공기 이동지역 이물질(FOD) 자동탐지 시스템 / 박명규
안티드론 시스템 기술동향 및 한국공항공사 대응방안 / 김현철
무인항공기 통신두절상태에서의 대처방안 연구 / 이학태
항공기 출도착 관리 연구개발 현황 / 전대근
도심형 항공모빌리티 산업현황과 전망 / 지창우
스마트관제시스템 기술 동향 및 해외 구축 사례 / 배동한
-
제 20회
2018.11
FAA Updates on Fatigue Risk Management / Nate Purdy
항행안전정책의 추진성과와 과제 / 이상곤
공역안전(Airspace Safety) / 한재현
항공교통관제사 피로관리체계 도입방안 / 한복순
보고제도, 비처벌제도 및 안전문화 등 / 황호원
인천국제공항공사 안전관리(SMS) / 나인기
대한민국 항공교통 혁신과제와 미래 발전방향 / 유광의
항공교통흐름관리(ATFM) 추진 성과와 과제 / 정혜인
항공기 call sign confusion 문제와 제안 / 김정식
빅데이터 플랫폼 기반 항행안전시설 관리체계 개선 / 손우람
Making Global Air Traffic Surveillance a powerful Reality / KEN Mclean
드론 및 무인비행장치의 발전 현황 / 김송주
우리나라 우주개발현황과 상업우주운송의 발전방향 / 허환일
-
제 19회
2017.9
항공관제절차 개선 및 수용량 확대방안 / 이금진
민·군 협력 및 공역체계 개선 / 김준혁
민군 공동사용공항의 운영개념 정립 및 국제기준 이행강화를 위한 민군협력방안 / 박준수
인천공항 A-CDM 도입 및 운영계획 / 박해용
항공기 출도착관리(AMAN/DMAN) 기술연구 / 전대근
글로벌 항공데이터종합관리망(SWIM) 연구개발 / 김재호
항공교통흐름관리 운영현황 / 정혜인
-
제 18회
2016.12
미래 항공교통관리(ATM) 체계 / 김연명
미래 드론전망 및 전용공역 / 김상현
Air Traffic Organization(ATO) Overview / Nate Prudy
미래항공교통 기술발전 방향 / 이금진
시스템기반 항공교통흐름관리 / 박순건
ICAO 및 주요국가의 관제사 피로관리체계 / 이상곤
항공정보통합관리시스템 전환계획 / 이효상
비행장 안전관리 개선방안 / 김도현
기상과 항공안전 / 박지업
항공기 사고 처리 - 기체만 치우면 다 인가 / 이준호
인천국제공항 차세대 관제시스템 구축현황 / 전인수
-
제 17회
2015.11
차세대 항공교통시스템 구축계획 / 안진섭
항행안전정책 및 안전관리 / 이상곤
ATM Concept 및 향상 방안 / 송창선
군 생애주기 안전교육체계 발전 / 권오영
국제교육훈련 성과 및 발전방안 / 이창성
항공교통안전관리절차 실무 적용 / 박종대
-
제 16회
2014.11
무인항공기 관련 ICAO 기술개발 현황 / 박향규
긍정적인 항공안전 문화를 위한 실행전략 / 김천용
항공안전기술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연구 성과 / 이장연
항공안전관리시스템 개발 필요성 및 국내 현황 / 권오훈
김포국제공항의 관제안전 개선사례 / 김규희
한국공항공사 재난안전관리체계 소개 / 김민수
항공기 사고 위기대응 체계 고찰 / 이동준
-
제 15회
2013.8
항공교통 관제분야 항공안전장애 발생 경향 / 김도완
항공안전관리의 전문성·효율성 제고 등을 위한 항공안전법 제정 추진 / 고상룡
AQP/ITQI 도입 필요성 검토 / 권보헌
항공종사자의 피로와 수면 / 권영환
조류퇴치로봇 시범사업 소개 / 김영권
항공로관제 안전장치 이중화 / 구은정
동절기 강설 시 항공기운항 효율성 제고방안 수립 / 김윤남
항행안전시설 안전 컨설팅 기법 도입 및 적용 / 정시택
통합 항공정보 활용시스템의 미래를 설계하다 / 신의섭
고속 레이저 변위 센서를 이용한 차량 탑재형 FOD 검지 기술 소개 / 김종호
-
제 14회
2012.10
Confidential Safety Incident Reporting : NASA aviation Safety Reporting System / pnda_Conell
스마트 워크 환경 조성 및 조직 일신을 통한 항공안전 확보 / 신의섭
공항 효율화 방안 연구 : Sprinkler 시스템을 이용한 항공안전장애 요인 제거를 중심으로 / 김춘산
ACI APEX 프로그램을 통한 인천공항의 공항운영 위상 제고 / 조용수
위험대응 프로그램으로서의 K-ORM 개발 및 적용 / 김대호
글로벌 항공안전 증진을 위한 IT분야의 성과와 미래 : ICAO와 한국의 협력을 중심으로 / 송기한
3F(Forecast, Find, Fix) : CRM/TEM과 관련하여 / 장병노
차세대 통합항공관세시스템의 핵심 CDM 최근 동향 / 권마이클
공항지하시설물 통합지리정보시스템 구축 / 박현찬
LOSA 운영 현황 및 발전방안 / 최진국
정비 분야 항공종사자 자격증명제도 개선에 관하여 / 김천용
-
제 13회
2011.10
Digital NOTAM 및 Digital Briefing 개념 / Eduard Porosnicu
SMS에서 Threat 및 Error Management(TEM) 적용 / Chris Henry
CNS/ATM의 발전 상황-ADS-B/MLAT / 권 마이클
인천국제공항 항행안전시설 운영성과, 그리고 미래 / 한대희
태양광 발전시설에 의한 항공안전 영향요인 고찰 / 이남석
안전관리시스템(SMS)과 안전문화 / 이강준
ATM(Air Traffic Management) Human Performance / 송창선
재난구조 지원을 위한 기상콘텐츠 개발 현황 / 이승주
-
제 12회
2010.10
A380 항공기 소개 / 김기양
승객의 안전정보 인지관리 / 유경인
성능기반항행(PBN)을 통한 위성항법체계 구현 / 박준수
항공교통관제사 안전문화 측정방법 소개 / 곽수민
관제시뮬레이터를 활용한 관제사 교육방안 / 정성진
김포공항 이동지역 안전관리 / 김기식
멀티레터레이션과 ADS-B를 통한 Green Aviation 실현 / 권 마이클
활주로 종단 안전구역의 위험빈도 추정연구 / 김도현
-
제 11회
2009.09
CNS ATM in the Cockpit / 우정식
Green Sky, Green ATM in Korea! / 박준수
항공교통관리(ATM)와 국제 항공법 / 박원화
전자항공정보관리체계 도입계획 / 김규희
장애물 관리시스템 구축 / 이세영
항공측량을 통한 항공지도 제작과정(ICAO 규정 준수) / 김승용
인천국제공항 ICAO F등급 항공기 수용방안 / 조용수
항공종사자 상시원격 학과시험 시스템 프로그램 소개 / 김원호
미국의 차세대 항공운송시스템 소개 / 염인순
-
제 10회
2008.12
한·중·일 하늘길 두배로! / 신정옥
항공교통관제업무 실무오류 감소를 위한 전략 / 곽수민
NOSS and LOSA : Essential tools for SMS / Chris Henry(ICAO NOSS팀)
ACAS RA 회피기동에 대한 인식 재고찰 / 신옥식
인천국제공항 지상교통 위험요소에 대한 대응 / 정성진
항공기 이륙속도와 미부 지상접촉(TAIL STRIKE)과의 관계분석 / 노건수
안전관리시스템 구축 및 발전방향 / 이길수
공중 충돌 방지에 관한 연구 / 권보헌
저비용항공사와 공항의 활성화 / 김웅이
-
제 09회
2007.07
제8회 세미나 결과 보고 및 항공정보 포탈시스템 소개 / 나승혁
Air Traffic Control with CNS&ATM / Robert G. Burns
ICAO 차세대 항법의 발전방향(부제: 성능기반항법) / 박준수
ALR(Airport paison Representative) 소개 / 문팔암
항공기사고사례 및 사고예방대책(CFIT중심) / 변순철
대한항공 안전관리시스템 소개 / 김동일
아시아나항공 안전관리시스템 소개/ 김종하
항공영어 학습 및 평가시스템 발전방향 / 박현철
ICAO 항공안전평가와 우리의 대응방안 / 장만희
항공안전보고제도 개선방안 / 신옥식
-
제 08회
2005.07
제7회(2004)항공안전세미나 제안사항 등의 조치/진행경과 /이인형
항공정보시스템 /김미숙
항공안전정보의 수집·분석을 통한 리스크관리 /최후영
공항안전관리체계의(SMS) 소개 및 구축방향 /오승철
B747-400 Incidents TEM Analysis /Peter A. Simpson Safety Management Systems and Stakeholder Collaboration /George H. Snyder
항공관제사의 책임에 관한 법적고찰 /신성환
관제관(Air Traffic Controllers) 항공영어능력 획득방안 /김광회
항적자료를 이용한 항공기 소음관리 방안 /이준호
항공로 설정현황 및 운영개선 방안 /장재수
남북한 경제교류증가에 따른 항공운송협력에 관한 연구 /김웅이/이강석/김도현
중국공역에서의 인적요소 관련 보고사례 분석 /차충용
독도 주변 공역에 대한 항공법적 고찰 /신성환
-
제 07회
2004.06
제6회 항공안전세미나 제안사항 등의 조치. 진행경과 /이인형
위험 사건에 대한 민항기 조종사의 인식구조 및 의사결정 요인 연구 /박수애
AQP의 국내도입에 관한 검토(Advanced Quapfication Program) /신홍철
RNAV현황 및 관제사의 역할변화 /박준수
ICAO 항공보안감사 프로그램 (Universal Security Audit Programme, USAP) /이주형
공군 조종사 적성검사 개발 방향 /설재욱
국제민간항공기구(ICAO)항공안전감사 대비를 위한 항공교통업무 제도개선 추진현황 /정의헌
우리나라 공항운영증명제도의 도입과 시행 /하재구
공지도 제작 및 항공장애물 조사 /송길호
Violence in the Skies /김지영
한국의 항공장애물관리규정(안) 적용에 관한 연구 /이강석
항공기-조류 충돌방지를 위한 공항내외의 조류서식지 관리방안 /유정칠
-
제 06회
2003.06
제5회 항공안전세미나 결과 개선사항 /최흥식
인적요인 중심의 사고분석 System 개발에 관한 연구 /박수애
비행정보실 현황 및 개선방향 /양승백
항공테러 방지를 위한 항공보안 실태 및 발전방향 /최봉선
우리나라의 RVSM도입 추진현황 /박옥희
EFIS와 FMS를 이용한 항법 능력 상실시의 비상 대처에 관한 연구 /김용석
공중충돌예방과 인적요인 /최영일
아시아나항공 LOSA(라인안전점검) 도입추진현황 /김길상
활주로 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의 그루빙 설치에 대한 타당성분석 및 시공사례 /최정수
공항운영증명과 항공안전 /홍석진/이윤일
-
제 05회
2002.06
항공교통관제 및 공역관리제도 개선방안 /최영일
항공사항공기 감시의 시스템적 접근 /배인석
효율적인 훈련프로그램의 운영 /이우길
항공위성항법 광역보정시스템 구축방안 /박형택
항공관제분야의 CRM 도입 /정혜인
인적요인 분석 및 분류 System /문창수
항공안전을 위한 항공정보관리 효율화 방안 /구연우
미국공역체제(NAS)연구를 통한 우리나라 공역활용 방안 /김상수
TCAS 회피기동 사례에 대한 분석 /최승열
김해공항 안전개선 대책 /정인재
항공사운항안전과 조직관리에 관한 소고 /임길순
계류장 관제업무의 효율적 운영 /고시영
-
제 04회
2001.06
인천국제공항 계기비행절차 개선 /신일덕
CFIT에 대한 항공기 사고예방 대책 /변순철
항공기이동지역내 항공안전제고 /박생기
운항관리사의 비행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/김병철
Read-Back Error 요인의 해석 /신현삼
우리나라 RVSM 도입 운용방안 /최영일
항공준사고보고제도를 통한 운항.관제업무개선 /김원호
-
제 03회
2000.06
운항관리가 항공안전에 미치는 영향 /유병열
공역체제 개선 및 항공관제절차 효율화 방안 /문성만
안전문화 재고 /김성전
항공교통 관제교육의 발전 방향 /송인선
인천국제공항 계기비행절차 /장인갑
RSAM에 대한 고찰 /김정식
-
제 02회
1999.06
항공교통장애분석을 통한 관제/조종개선방안 /박정권
비행외적요인이 비행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/권보헌
항공교통 관제업무능력과 인터넷활용 /이우길
TMA내의 조종사위반요소 예측과 행태분석 /신현삼
비행단계별 조종사업무 Load변화에 관한 연구 /김영권
Air Traffic Control Organization and Services In The United States Air /Cary Bragg
Y2K대비 항공교통관리부문 개선방안 /최영일
-
제 01회
1998.06
공역의 효율적인 이용방안 /박준수
항공교통업무공역과 특별지정공역에 관한고찰 /김영권
2000년대 국내ATM과 ASM의 좌표 /신현삼
조종사.관제사간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고찰 /김채근
항공교통관제업무의 개선방향 /권보헌
한.중항로상 항공기안전운항대책에 관한 연구 /이덕영
항공관제 및 운항업무의 제도개선 /남궁한종
저고도공역관리체계 발전방향 /김영한
항공운항규제의 합리화방향 /이정학
ATM을 위한 위성항행시스템의 국내개발현황 /박효달
-
항공안전
과
인적요소1996.07
인사말씀 /항공국장
제3차 ICAO비행안전과 HumanFactors심포지움 참가결과보고 /문길주
항공안전에 관한 국제협약 /홍순길
Enneagrams(자기분석기법)에 의한 조종사성격 유형간 상호작용에 관한 /김칠영
비행안전과 HumanFactors-항공심리를 중심으로 /강현철
운항승무원 요소에 의한 항공기사고의 지역적성향 /이승배
대한한공의 CRM 실시현황 및 효과분석 /조동술
HumanFactors교육의 세계적 추세 및 발전방향 /김인철
실수의 근본원인과 대책 /손준영
CFIT에 의한 항공기사고예방 /변순철
항공기 정비와 HumanFactors /이정학
항공교통관제와 HumanFactors-항로관제시스템을 중심으로 /유경수
AHP(계층분석기법)를 이용한 비행조직의 안전도 평가모형개발 /오영덕
비행교육의 안전도향상을 위한 조종실 설계에 관한 연구 /김준식.신성국.김영준
-
제 05회
2017.3
한국 항행체계 발전계획 및 추진방향 / 박준수
한·중·일 차세대 항공감시시스템 공유 방안 / 김상윤
인천국제공항 차세대 관제시스템 구축 및 운영 / 전인수
드론을 이용한 항행안전시설 점검 / 홍진영
ATC communication Error 유발요인과 대책 / 권보헌
관제분야 품질 만족도 조사결과 및 시사 / 이강준
무인항공기 기술동향 / 심현철
-
제 04회
2016.3
활주로 안전 프로그램 등 미래 안전관리 방향 / Anthony Ferrante
데이터기반 관재방식 전환 등을 위한 안전전략 / 이상곤
항공안전보고제도 활성화 방안 / 이강준
공군의 항공기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관리방안 / 권오영
대한항공 안전관리 현황 / 조미숙
SMS 운영을 통한 공항안전 증진방안 / 김경태
인천공항 3단계 사업 관련 항공기 지상 이동절차 / 박해용
항공기 사용사업 현황과 안전관리에 대한 연구 / 최연철
-
제 03회
2015.4
美 항공안전 정책 및 안전관리시스템 방향 / Anthony Ferrante
항행안전 정책 및 안전관리 방안 / 김봉석
국내 항행안전시설의 인증체계 발전 방안 / 김장환
공군 안전관리시스템 소개 / 김대호
공항 주변 항공안전 확보를 위한 장애물관리시스템 / 원동찬
아시아나항공 안전관리체계 소개 / 김종하
항공정보분야 교육훈련 효율화 방안 / 강현우
-
제 02회
2014.4
항행안전정책의 현황과 방향 / 장인갑
How to be a Regulator Guidance and Tool / Anthony S. Ferrante
Steadily Improving Safety of ATM by FAA(Overview) / Anthony S. Ferrante
저고도 운용항공기 및 헬기 안전비행 방안 / 최연철
제주항공 SMS 운영체계 소개 / 김하기
Voluntary Reporting Programs / Anthony S. Ferrante
공항안전 및 교통흐름관리 발전방안 / 신종훈
-
제 01회
2013.7
항행안전정책 및 감독방향 / 장인갑
新 상시평가 항목 및 ICAO 온라인 평가시스템 소개 / 장여진
피로예방과 소통의 지름길 / 문우춘
공군안전조사체계 / 유승낙